본문 바로가기
교통/대중교통

간선급행버스(BRT) 개념 및 사례

by 고터틀 2022. 5. 29.
반응형

간선급행버스(BRT) 개념 및 사례

 

 

BRT(Bus Rapid Transit)는 고품질 대중교통 서비스를 위해 도입되었다. 

 

국내외 많은 나라에서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국내 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에 지속해서 확대·구축되고 있다.

 

 

간선급행버스(BRT) 개념


2004년 말부터 국내 버스 정책은 기존 도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통관리 체계가 요구되었다.

 

이를 배경으로, 서울시 버스노선 개편과 함께 단기간·저비용·고효율의 BRT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대도시권에서 건설 운영하는 버스 전용 주행로, 교차로, 정류소 등 BRT 시설과 전용차량을 갖추고 운영하는 교통체계이다.

 

정시성, 통행속도, 수송 능력 등 버스 서비스를 도시철도 수준으로 향상한 대중교통시스템이다.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교통난 완화가 목적이다.

 

간선급행버스(BRT)의 정의는 법령마다 조금씩 상이하나 전체적인 뜻은 유사하다.

 

*간선급행버스(BRT) 정의

구 분 정 의
간선급행버스체계의
건설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정의)1
대도시권에서 건설·운영하는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5호에 따른 간선급행버스체계로서 전용 주행로, 간선급행버스체계 교차로, 정류소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체계시설과 전용 차량을 갖추고 운영하는 교통체계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5
버스전용차로, 편리한 환승시설, 교차로에서의 버스우선 통행 그 밖의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갖추어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하는 교통체계
간선급행버스체계
(BRT) 설계지침
BRT 전용차로, 편리한 환승시설, 교차로에서의 버스우선 통행 그 밖의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갖추어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하는 교통체계
간선급행버스체계
시설의 기술기준
대도시권에서 건설·운영하는 버스시스템으로 전용 주행로, 간선급행 버스체계 교 차로, 정류소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체계시설과 전용차량을 갖추고 운영하는 교통체계

 

 

BRT와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같은 듯 다르다?

 

다수의 사람이 중앙 버스전용차로와 BRT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고 단어를 사용한다.

 

'같은거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정확히 따지면 다르다.

 

BRT는 전용 차량, 전용 승강장, 우선 신호, 운영관리시스템, 환승시설 등을 갖추었다.

 

조금 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BRT 수준별 설치 형식을 표로 제시한다.

 

*간선급행버스(BRT) 수준별 설치 형식

설치 수준 BRT 자동차 주요 진출입부 및 교차로 전용차로 환승시설 운영관리
시스템
입체화 및
전용램프
BRT 우선신호
상급 BRT
중급 BRT
초급 BRT ×
중앙
버스전용차로
× × × ×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 × × × ×

주: 1. ○ : 포함, △ : 일부 포함, × : 미포함

      2. 환승시설은 환승 터미널, 환승센터, 환승주차장을 포함하여 BRT 정류장은 전용차로에 포함된다.

      3. 운영관리시스템은 운영센터, 운행관리시스템(BMS), 정보안내시스템(BIS), 요금체계 등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자료: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설계지침, 건설교통부(2005)

 

 

BRT 유형

 

BRT는 범위에 따라 광역형과 도심형으로 나뉜다.

 

'광역형'은 도심부 외곽 또는 도심 내부에서의 환승시설과 한 군데 이상에서 연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도심형'은 도시철도, 지역 간 버스와 철도 등 수단 연계, 자전거도로, 대중교통 전용지구 연계체계 구축을 원칙으로 한다.

 

BRT는 기반시설 이용방식에 따라 전용형과 혼용형으로 나뉜다.

 

'전용형'은 해당 시스템 내에서만 노선을 운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 주행로, 정류장이 하나의 단일 시스템 형성,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은 일반버스는 진출입이 불가능하다.

 

또한, 경전철에 준하는 교통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혼용형'은 특정 축의 일부 구간에 높은 이동성, 수송 능력을 갖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이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준 또는 새로운 버스노선이 운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BRT는 연계 교통수단에 따라 환승 유형이 대중교통수단 간 환승, BRT와 개인교통수단 간 환승으로 나뉜다.

 

대중교통수단과 환승의 경우 보행 이동시설이 주로 요구된다.

 

그러나, 개인교통수단 간 환승은 주차장, 자전거보관소 등 주정차 시설이 필요하다.

 

 

간선급행버스(BRT) 사례


기존 대비 버스 서비스의 우수한 효과 입증으로 국내외 많은 나라에서 BRT를 도입·운영 중이다.

 

국내 간선급행버스(BRT) 사례

 

추진 경위

 

국내 간선급행버스(BRT)의 추진 경위는 아래와 같다.

  • 2014년 4월 : BRT 특별법 제정
  • 2016년 8월 : 간선급행버스체계 시설의 기술기준 고시 
  • 2018년 11월 : 제1차 BRT 종합계획('18~'27) 수립
  • 2019년 3월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간선급행버스체계과 신설) 개청
  • 2020년 1월 : S-BRT 가이드라인 고시 및 시범사업(5개소) 선정
  • 2021년 11월 : 제1차 BRT 종합계획 수정계획('21~'30) 수립

 

*BRT 특별법, 제1차 BRT 종합계획('18~'27), 제1차 BRT 종합계획 수정계획('21~'30), 기술기준, 가이드라인 자료 공유

간선급행버스체계의 건설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3단비교).hwp
0.58MB
간선급행버스체계(BRT)종합계획(2018~2027)(고시).hwp
6.97MB
간선급행버스체계(BRT)_종합계획_수정계획(2021-2030).pdf
5.48MB
(개정안)간선급행버스체계(BRT) 기술기준[최종].hwp
3.24MB
(최종)고급 BRT 표준가이드라인(19.12.).hwp
0.69MB

 

 

국내 운영현황(2022년 1월 기준)

 

국내 간선급행버스(BRT)는 운영단계 27개 노선, 추진단계 5개 사업, 계획단계 49개 노선이다.

 

운영단계 27개 노선 중 광역 BRT 4개 노선, 도시 BRT 23개 노선을 운영 중이다.

 

광역 BRT 4개 노선은 수도권(경기 하남~천호 BRT, 인천 청라~강서), 대전권(세종 BRT, 대전역~세종)이다.

 

도시 BRT 23개 노선 중 세종 BRT와 대전역~세종 BRT는 22.3km의 일부 구간이 중복 반영되어 있다.

 

*운영단계 27개 노선

구분 합계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기타
광역 BRT 노선 수
(개소)
4 2 - - - 2 -
연장
(km)
114.5 30.3 - - - 84.2 -
도시 BRT 노선 수
(개소)
23 17 3 - - 3 -
연장
(km)
207.4 151 24.9 - - 31.5 -

 

*광역 BRT 구간별 운영 현황(2020년 기준, 자료 : 제4차 대중교통 기본계획)

구분 구간 연장(km) 사업비 국비지원 개통년도
합계 - 114.5 7,112억원 6,148억원 -
하남-천호 BRT 서울 천호역~하남 창우동 10.5 444억원 218억원 2011년
청라-강서 BRT(1단계) 인천 청라~서울 화곡역 19.8 519억원 193억원 2013년
세종 BRT 반석역~세종시~오송역 31.2 5,409억원 5,409억원 2012년
대전-세종 BRT 대전역~세종시~오송역 53.0 740억원 328억원 2016년

 

글로벌 BRT 확인 결과, 서울 BRT가 외국 도시 대비 연장이 길고 162개 도시 중 5위 수준의 높은 일일 수요를 보인다.

 

추진단계 5개 사업 중 광역 BRT 2개소, 도시 BRT 3개소에서 사업이 추진 중이다.

 

*추진단계 5개 사업

노선명 사업 구간(연장) 연장(km) 사업 기간 비고
5개 노선 62.6 - -
수도권 성남 BRT 성남 남한산성 입구 ~ 복정역 10.2 '22~'25 광역
부산울산권 부산 서면~사상 BRT 부산 서면 ~ 주례교차로 5.4 '20~'22 도시
창원 BRT 창원 육호광장 ~ 가음정사거리 18.0 '20~'25 도시
대전권 공주~세종 BRT 공주 버스종합터미널 ~ 세종 6-2생활권 18.5 '22~'24 광역
기타권역 제주 BRT 국립박물관 사거리~달무교차로 10.5 '22~'25 도시

 

 

국외 간선급행버스(BRT) 사례

 

브라질 쿠리치바

 

브라질 쿠리치바는 BRT 사례로 자주 언급되는 도시이다.

 

1965년 BRT 인프라 구축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였고, 1970년 초부터 주요 간선 교통축을 따라 버스전용차로를 개설했다.

 

쿠리치바의 도로망 대부분은 일방통행 체계이며 간선급행버스(BRT)가 설치된 도로는 양방통행 체계이다.

 

간선버스는 시가지 중심에서 방사상 5개 축의 노선으로 버스전용도로를 주행한다.

 

교외 지역을 순환하는 순환버스(Green Bus), 지역과 환승센터를 연결하는 지선버스(Orange Bus)

 

버스전용차로를 달리는 급행버스(Red Bus), 2지점 간 버스터미널만 정차하는 형태의 간선버스(Silver Bus)

 

4가지 색의 버스로 운행노선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콜롬비아 보고타

 

콜롬비아 보고타는 중앙정부 지원 70%, 보고타시 자금지원 30%를 통해 TransMilenio(중앙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한 첨단 버스시스템)라는 고성능-저비용 급행버스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TransMilenio는 버스전용차로, 정류장, 육교, 인도(보도), 광장 및 기타 공공장소, 통제 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ransMilenio는 2000년 12월 제1단계 성공적 개통으로 보고타 도시 공간구조를 크게 변화시켰다.

 

교통 혼잡 지역에 노선길이 40km 중앙 버스전용차로와 버스우선차로 2.5km를 설치하였다.

 

통행시간 32% 단축, 배기가스 40% 감소, 교통사고 90%를 줄이는 효과를 거두었다.

 

2002년~2015년 제2단계, 노선길이 43km의 버스전용차로와 52개의 버스정류장을 추가로 확보했다.

 

보고타의 버스전용차로는 일반차로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 통행시간 절감, 교통사고 감소 효과가 크다.

 

TransMilenio 시스템이 BRT 운영을 뒷받침하고 있기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정부가 TransMilenio에 버스 운행 영업권을 모두 위임해 복잡한 프로젝트를 현실화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일본 나고야

 

일본 나고야는 1985년 4월 Shindekimachi에 10.2km의 중앙 버스전용차로를 설치 운영하였다.

 

일본 나고야시는 서울 공무원들이 2004년 중앙 버스전용차로 설치를 위해 벤치마킹한 곳이라고 한다.

 

중앙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기 전 버스 통행속도는 12~14km/h였으나 설치 후 20km/h로 향상되었다.

 

통행시간은 35% 감소하였고 버스 승객은 27% 증가하였으며, 정시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일본 나고야에는 2001년 처음 도입된 가이드 웨이 버스 유리토라인이 있다.

 

1986년 지하철을 건설하기에는 이용객 수요가 부족하여 가이드 웨이 버스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철도와 버스의 이점을 살린 듀얼모드이다. 

 

전용 고가도로는 차량의 안내 장치에 의해 주행하고 일반도로에서는 일반 노선버스로 주행할 수 있다.

 

 

중국 광저우

 

광저우 BRT는 2005년부터 추진되어 2008년 11월 사업을 착공하여 2010년 2월 노선을 개통하였다.

 

광저우 BRT는 일평균 승객 85만명을 수용하며, 교통 혼잡시간대 시간당 편도 승객 25,000명을 운송한다.

 

아시아 유일의 골든 스탠더드 등급을 획득하였으며, 2011년 지속가능 교통상을 수상하는 등 BRT 성공 도시 중 하나다.

 

광저우 BRT를 설계한 ITDP 보고서에 따르면 일평균 운행속도가 17km/h에서 22km/h로 29% 증가하였다.

 

BRT 구축으로 광저우시의 교통 문제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시민들의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동남아시아에서 처음으로 Transjakarta BRT를 2004년에 도입하여 운영 중이다.

 

230.9km의 세계에서 가장 긴 BRT 노선망을 갖추고 있으며, 메인 노선은 남부 엠블록에서 북부 꼬타 역이다.

 

버스 탑승을 위한 문이 승강장에 맞춰져 있어 높은 것이 특징으로 일평균 63만 명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PT Transjakarta는 주황색의 Metrotrans와 Royaltrans를 추가 확장하여 운행하고 있다.

 

 

2022.06.10 - [대중교통] -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를 알아보자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를 알아보자

다양한 지역에서 BRT 중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가 언급되고 있다. S-BRT가 무엇인지 기본 BRT와는 어떻게 다르고 현재 어디서 어떻게 S-BRT가 추진 중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고급 간선급행버스

flytotip.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