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도시에서는 도로의 효율을 높이고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버스전용차로를 운영한다.
국내외 버스전용차로 사례를 살펴보고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고자 한다.
국내 버스전용차로 설치사례
대한민국은 1980년대 이후 자동차 이용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도로·교통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1990년 8월 도로교통법에 처음 '버스전용차선'을 명시하였다.
1993년 2월 최초로 서울특별시 한강로, 왕산로, 동작대로, 강남대로에 버스전용차로제가 지정되었다.
2006년 경기도 고양시에서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의 일반도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개통했다.
국내는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와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고 역류형 버스전용차로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국내의 버스전용차로는 지역별로 설치기준이 조금씩 상이하며 설치 사례 소개와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개략적인 지역별 버스전용차로 사례 설명 후 중앙버스전용차로 사례를 소개한다.
버스전용차로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버스전용차로 설치기준은 차로 수와 교통량에 따라 상이하다.
편도 3차로 이상의 도로는 최소 교통량이 60대/시 이상일 경우 버스전용차로 설치가 가능하고,
버스 교통량이 150대/시 이상일 경우 정류소 추월 차로 및 중앙 버스전용차로 설치가 가능하다.
편도 4차로 이상의 도로는 최소 교통량이 100대/시 이상일 경우 버스전용차로 설치가 가능하고,
버스 교통량이 150대/시 이상일 경우 중앙 버스전용차로 설치가 가능하다.
서울특별시의 버스전용차로는 가로변과 중앙 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있으며,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는 시간제와 전일제(24시간),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전일제(24시간)로 운영되고 있다.
(2019년 기준)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는 시간제(17구간, 43.3km), 전일제(21개구간, 40.4km)로 운영되고 있다.
(2020년 기준)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전일제(13개 축, 124.2km)로 운영되고 있다.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의 버스전용차로 설치기준은 차로 수와 교통량에 따라 상이하다.
편도 3차로 이상의 도로로 버스통행량이 60대/시~120대/시일 경우 시간제 또는 전일제로 운영한다.
버스 통행량이 120대/시 이상일 경우 전일제로 운영하며, 기타 승객의 수송효율 및 도로 서비스수준 고려하여 설치한다.
(2022년 기준)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는 07:00~09:00, 18:00~20:00 시간제로 9개 노선, 44.7km 운영 중이다.
(2022년 기준)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전일제로 7개 노선, 26.7km 운영 중이다.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버스전용차로 설치기준은 차로수와 교통량에 따라 상이하다.
부산광역시는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와 중앙 버스전용차로(BRT 포함)를 운영 중이다.
(2021년 기준) 시간제와 전일제로 운영 중이며 시간제 75.88km, 전일제 50.02km로 확인된다.
(2021년 기준)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는 07:00~09:00, 17:00~19:00 시간제 76.56km 운영 중이다.
(2021년 기준)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BRT 49.84km 운영 중이다.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버스전용차로 설치기준은 차로 수와 교통량에 따라 상이하다.
대구광역시는 동대구역 앞 전일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시간제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를 운영 중이다.
2011년부터 꾸준히 중앙버스전용차로(BRT급) 설치가 제안되어 왔으나 BRT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2021년 11월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서 처음 대구광역시 BRT 3개 노선을 확정하였다.
(2021년 기준)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는 07:00~09:00, 17:30~19:30 시간제 117.2km 운영 중이다.
(2021년 기준)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동대구역 앞 0.56km의 매우 짧은 구간에 운영 중이다.
대구광역시의 중앙 전용차로는 구간이 짧아 중앙 버스정류장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있다고 한다.
기타
위에서 언급한 주요 지역 외에도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등 다양한 지역에서 도입·운영 중이다.
중앙 버스전용차로
국내의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다수가 BRT로 알고 있으나 다소 애매한 부분이 있다.
중앙버스전용차로와 BRT의 차이는 'BRT 개념 및 소개 편'에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한다.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는 2004년 대중교통체계 개편사업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였다.
2020년 기준으로 13개 축, 124.2km의 중앙 버스전용차로가 전일제로 운영 중이다.
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도심 단절구간, 환상형 네트워크 강화, 지역 간 연계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평균 버스 통행속도는 약 30% 향상되었으며, 정체가 심했던 도봉·미아리 경우 약 81.8%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버스 승객 수는 설치 전과 비교하였을 때 도로 별로 상이하나 평균 4~7% 증가하였다.
특히, 평균 1~2분의 오차 수준으로 정시성 확보에 크게 기여하였다.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는 2011년 7월 도안대로와 도안동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처음 시행하였다.
다음으로 BRT 노선 운영으로 2012년 9월 오송~세종~유성을 잇는 중앙 버스전용차로가 시행되었다.
중앙 버스전용차로 설치 후, 통행시간은 기존 60분에서 33.2분으로 26.8분 감소하였다.
통행속도의 경우 16.8km/h에서 21.4km/h로 4.6km 증가하였다.
2011년 7월 승객 수 2,026명, 2015년 1,871명 증가하여 약 92.3%의 승객 수가 증가하였다.
2011년 이후,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의 버스 통행속도 15.8km/h 대비 32.7km/h로 약 2배 이상의 속도 증가가 나타났다.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의 중앙버스전용차로(BRT 포함)는 2017년 4월 24일 개통 후 2021년 기준 49.84km 전일제로 운영 중이다.
도입 후 버스 평균 통행속도는 17.4km/h에서 22.7km/h로 약 30%, 이용객 수는 약 20% 향상되었다.
타 차량 운전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택시 등 타 차량의 불법주정차 개선으로 효과가 높다'는 설문이 51.4%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2017년 2월, 2018년 1월 두 차례 중앙 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였다.
제주시 항공로(제주공항~신제주입구 사거리) 0.8km, 중앙로(광양사거리~아라초) 2.7km 구간 운영 중이다.
다른 지자체와 달리 중앙 버스전용차로에 택시 이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제주시 중앙로(광양사거리~아라초)에 도입 후, 양방향 평균 버스 통행속도는 13.2km/h에서 18.8km/h로 증가하였다.
국외 버스전용차로 설치사례
대중교통의 선진국인 해외에서는 이미 버스전용차로가 도입·운영되어 다양한 효과를 얻고 있다.
해외 버스전용차로 사례는 국내 버스전용차로에 벤치마킹하여 좋은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해외 버스전용차로 설치사례는 유형별로 소개하고자 한다.
중앙 버스전용차로의 경우 BRT와 함께 다른 장에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한다.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호주 시드니
호주 시드니는 버스전용차로와 버스 전용도로 두 가지로 나뉜다.
버스전용차로의 경우 택시, 오토바이, 자전거, 긴급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다.
일반 차량은 좌회전, 우회전 및 진입·진출의 경우 100미터 범위까지 버스전용차로 이용이 가능하다.
버스전용차로의 운영시간은 06:00~10:00, 15:00~18:00으로 주 5일(월~금) 운영 중이다.
영국 런던
영국 런던의 전체 버스전용차로는 240km로 버스전용차로 1km당 버스 대수는 28대이다.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와 중앙 버스전용차로가 운영 중이며, 택시, 스쿠터, 자전거, 최소 10인승 버스 통행이 가능하다.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와 중앙 버스전용차로의 운영시간은 07:00~19:00로 동일하다.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의 경우 빨간색과 하얀색 차선 2개를 동시에 그려주어 시인성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뉴질랜드 오클랜드
뉴질랜드 오클랜드의 버스전용차로는 명확한 시작과 끝을 알려주기 위해 시작과 끝에 녹색 노면 포장이 되어있다.
주 7일 전일제로 운영하고 있으며, 타지역의 경우 07:00~10:00, 16:00~19:00 시간제로 운영 중이다.
버스전용차로에는 버스 외에 자전거, 오토바이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중국 베이징
중국 베이징의 버스전용차로 운영시간은 05:00~06:00, 20:00~23:00, 야간 버스는 23:20~05:00 시간제로 운영 중이다.
중국 베이징의 경우 일찍이 교통난으로 인해 2005년에 지하철 시스템을 보완하기 위한 BRT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BRT 시스템 도입 후 버스 이용객이 20% 증가하는 등 우수한 효과가 나타났다.
역류 버스전용차로
역류 버스전용차로는 일반교통류와 반대 방향으로 1~2개 차로를 버스에 제공한다.
주로 일방통행로에 적용되어, 일방통행로에서 양방향으로 버스 서비스를 유지해주기 위해 도입된다.
미국 NACTO에 의하면 역류형 버스전용차로 설치 시 다음과 같은 4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 반대 방향 교통류와 분리하기 위해 2개의 노란색 중앙선 설치
- 잘못 진입하는 차량을 위해 'BUS ONLY' 노면표시 설치
- 잘못 진입하는 차량과 안전을 위해 '진입 금지' 안전표지 설치
- 역류 버스전용차로 옆 자전거도로는 버스전용차로를 더 길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영국 런던
2009년 영국 런던에서는 Shaftesbury Avenue와 Piccadilly Circus를 연결하는 역류 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였다.
도입 후, 버스 승객 통행시간 개선, 버스 서비스 향상, 원활한 교통흐름의 효과가 나타났다.
역류 버스전용차로 도입으로 보행자 도로 폭과 보행자 횡단 환경 개선에 기여하였다.
캐나다 몬트리올
캐나다 몬트리올의 역류 버스전용차로는 Pie IX Boulevard, The Champlain Bridge에 설치되어 있다.
Pie IX Boulevard는 양방 간선도로에서 버스전용차로를 운영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오전 첨두시(06:00~10:00) 동안 남방향, 오후 첨두시(15:00~19:00) 동안 북방향으로 운영한다.
역류 버스전용차로 운영시간 동안 일반차량의 좌회전이 금지되는 특징이 있다.
역류 버스전용차로 도입 후 기존 통행시간보다 15분의 통행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미국 샌프란시스코는 교통서비스 증진, 대중교통 사용 촉진을 위해 다양한 운영기법을 적용하였다.
교통 우선 신호, 확장형 버스 정류장 등을 시행하였으나 마지막으로 시내 중심 교통 운영 향상을 위해 도입하였다.
특정 노선의 경우 오후 첨두시 버스 최대 통행시간이 약 69.8% 감소, 표준편차 약 77.9% 감소하였다.
통행 거리가 약 34% 증가하였으나, 전체 통행시간이 매우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2022.05.29 - [대중교통] - 간선급행버스(BRT) 개념 및 사례
'교통 > 대중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짓 몰? 대중교통전용지구? 그게 뭐야? (0) | 2022.06.04 |
---|---|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개념 및 사례 (0) | 2022.05.31 |
대중교통중심개발(TOD)을 알아보자 (0) | 2022.05.31 |
간선급행버스(BRT) 개념 및 사례 (0) | 2022.05.29 |
버스전용차로 개념 및 유형의 모든 것 (0) | 2022.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