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대중교통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를 알아보자

by 고터틀 2022. 6. 10.
반응형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

 

 

다양한 지역에서 BRT 중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가 언급되고 있다.

 

S-BRT가 무엇인지 기본 BRT와는 어떻게 다르고 현재 어디서 어떻게 S-BRT가 추진 중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


S-BRT는 Super Bus Rapid Transit의 약자로 BRT 중에서도 고급에 해당하는 BRT를 의미한다.

 

앞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개념 및 사례' 포스트에서 BRT 수준별 설치 형식을 언급하였다.

 

여기서 고급에 해당하며 전용 차량, 주요 진출입부 및 교차로, 전용차로, 환승시설, 운영관리시스템 등의 시설을 갖춘다.

 

국토부는 2019년 12월 고급 BRT 구축 및 활성화 지원을 목적으로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 표준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최종)고급 BRT 표준가이드라인(19.12.).hwp
0.68MB

 

 

 

'고급 BRT 표준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기존 버스 대비 높은 평균 통행속도와 정시성, 서비스 수준을 갖춰야 한다고 한다.

 

  • 평균통행속도 : (일반노선) 25km/h, (급행노선) 35km/h
  • 정시성 : 출발 및 도착 예정 시간 대비 2분 이내

 

고급 BRT 기능 및 역할

 

고급 BRT의 기능 및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대도시권 광역철도 및 도시철도를 보완하는 경우

 

  • 광역철도 및 도시철도와 효율적인 연계 체계를 마련
  • 주변의 분산된 지선버스 노선과의 효율적인 연계 체계 마련
  • 광역철도 및 도시철도와 고급 BRT의 환승은 이용자의 환승 시간 및 환승 거리가 최소화되도록 배치

 

*지방 중소도시의 간선교통을 담당하는 경우

 

  • 광역철도 및 도시철도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활용
  • 기존 버스노선이 집중된 도로에 배치
  • 인접 도시와 연계를 통해 간선교통망을 형성

 

고급 BRT 구성요소 및 추진 계획

 

고급 BRT가 갖추어야 할 교통체계시설과 서비스수준의 권고 기준과 최소 기준은 아래와 같다.

 

*고급 BRT 구성요소

구분 세부 항목 권고기준 최소기준
전용 주행로 차로 분리 외부 차량과 분리할 수 있는 시설(연석 등) 설치 차선 분리
교차로 처리 교차로 입체화 또는 우선 신호 -
정류장 정류장 형태 폐쇄형 정류장 반개방형
정류장 형식 섬식 정류장 상대식
정류장 규모 폭원 5m 이상 3m 이상
추월 차로 정류장 별 1개 이상 추월차로 확보 연속 2개 정류장 중 1개
정류장 높이·간격 차량과 승차대 간 높이 2cm, 수평 간격 최소화  
전용 차량 차량 용량 출입문 3개 이상의 대용량 버스 일반 저상
차량 연료원 전기 또는 수소 차량 CNG, CNG hybrid
시스템 연계 브랜드 주행로, 정류장, 차량 디자인 통일 -
환승체계 LOS(Level Of Service) B 이상 LOS C
연계체계 주요 교통수단의 운행 스케줄과 연계 -
운영센터 실시간 정보제공기능을 -
서비스 운영 사전요금지불 정류장에서 요금 지불 가능 시스템 구비 -
배차간격 노선별 첨두시 10분 이내 -
편의시설 차량과 정류장에 냉난방시설, BIS 등 구비 -

 

2018년 12월 3기 신도시 교통대책 및 수도권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S-BRT 도입을 발표하였다.

 

2020년 1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BRT 구축을 통한 대중교통시스템 확대를 위해 S-BRT 사업 신청을 받았다.

 

인천계양~부천대장, 인천 BRT, 성남 BRT, 창원 BRT, 세종 BRT 5개 시범사업을 2027년까지 추진 계획을 발표하였다.

 

  • 인천 계양~부천 대장('22~'26) : L=16.7km(김포공항역~계양~대장~부천종합운동장), 총 사업비 6.500억원
  • 인천 BRT : L=9.4km(인하대~루원교차로), 총 사업비 361억원
  • 성남 BRT : L=5.2km(모란사거리~단대오거리~남한산성), 총 사업비 214억원
  • 창원 BRT : L=9.3km(도계광장~가음정사거리), 총 사업비 350억원
  • 세종 BRT : L=22.9km(세종BRT 고급화), 총 사업비 785억원

 

국토교통부는 2020년 4월~2022년 12월 S-BRT 우선신호 기술 및 안전관리 기술 R&D를 수행하였다.

 

교차로 우선 신호 처리, 사전요금지불, 섬식 정류장, 양문형 전용차량 등 S-BRT 도입 및 추진에 필요한 핵심기술 R&D이다.

 

R&D 성과물을 토대로 S-BRT 시범사업에 활용 및 실증을 추진하며, 2021년 세종시에서 실증사업을 하였다.

 

2022년 3월 세종시에 국내 첫 S-BRT 폐쇄형 정류장을 개방하였고 냉·난방설비와 정류장 안전문 등의 요건을 갖추었다. 

 

또한, BRT에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확대를 접목하기 위해 자율주행 BRT 서비스 도입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실증 결과를 토대로 세종 BRT 노선(세종~오송 등)에 자율주행 상용화를 우선 추진, S-BRT 중심 도입을 확대·검토 중이다.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종합계획 수정계획(2021~2030)'에서는 BRT 서비스 제고 및 추진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 중이다.

 

BRT 평가체계 구축 후 주기적인 BRT 서비스 평가로 결과에 따라 재정지원, 운송사업자 면허 갱신 등에 활용 예정이다.

 

매년 BRT 도입·운영 우수사례를 발굴, 지자체에 공유, 우수 지자체의 경우 사업비 우선지원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2022년 국토교통인재개발원 등 중앙·지자체 교육기관에 BRT 정책 교육과정을 신설하여 BRT 담당 공무원, 관련 분야 종사자 등의 BRT 이해도를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또한 중앙정부, 지자체, 교통 전문기관 등이 참가하여 BRT 노선, 사업 시행주체, 재원 분담 등에 대한 기관 간 이견 조정하는 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2022년까지 BRT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BRT 사업 추진 원칙·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종합계획 수정계획(2021-2030).pdf
5.48MB

 

 

2022.05.29 - [대중교통] - 간선급행버스(BRT) 개념 및 사례

 

간선급행버스(BRT) 개념 및 사례

BRT(Bus Rapid Transit)는 고품질 대중교통 서비스를 위해 도입되었다. 국내외 많은 나라에서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국내 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에 지속해서 확대·구축되고 있다. 간선급행버스(BRT) 개

flytotip.com

 

 

2022.06.17 - [대중교통] - 신개념 버스 서비스 BTX(Bus Transit eXpress)란?

 

신개념 버스 서비스 BTX(Bus Transit eXpress)란?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의 개념에 대해 알아본 후 BTX(Bus Transit eXpress)를 소개해달라는 요청이 많았다. 신개념 버스 서비스 중 대표적인 BTX(Bus Transit eXpress)는 최근 들어 많이 언급되고 있다...

flytotip.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