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81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개념 및 사례 국내에서는 2004년 고속철도 개통 이후 고속철도역 등 교통망의 지역 개발 파급효과가 크다. 이에 정부는 교통 결절점을 대상으로 문화, 업무, 상업이 융합된 신성장 거점 조성의 필요성 확인하였다. 2009년 6월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으로 전면 개정하면서 복합환승센터 개발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국토교통부는 복합환승센터 개발 기본계획 및 관련 지침을 마련하고 복합환승센터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복합환승센터 개념 각 교통수단 간의 원활한 연계 교통 및 환승활동과 상업·업무 등 사회경제적 활동의 복합적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환승시설 및 환승지원시설이 상호 연계성을 갖고 모여 있어 빠르고 편리한 환승으로 대중교통 중심 교통체계를 구현한다. 복합환승센터를 중심으로 교통수단 간 연계·환승 체계를 강.. 2022. 5. 31.
대중교통중심개발(TOD)을 알아보자 저밀개발과 도시확산(Urban Sprawl) 등으로 환경과 교통문제를 경험한 전 세계에서 TOD를 추진 중이다. 현재 전 세계는 기후변화, 스마트성장,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 개발 등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대중교통 중심 개발(TOD)란? Transit Oriented Development의 약자로 대중교통 중심으로 대중교통 친화적인 공간이 조성되도록 개발하는 것이다. 미국 건축가 피터 캘도프가 처음 주창한 도시개발 방식이다. 철도역과 버스정류장 주변 반경 400~800m의 도보 접근이 가능한 곳에 대중교통 중심 생활권을 형성한다. 대중교통체계가 잘 정비된 중심지구는 고밀도로 외곽지역은 저밀도로 개발을 추구하는 방식이다. 상업, 업무, 주거, 여가 등을 보행 친화적으로 설계하고 고밀도의 복합적 토.. 2022. 5. 31.
간선급행버스(BRT) 개념 및 사례 BRT(Bus Rapid Transit)는 고품질 대중교통 서비스를 위해 도입되었다. 국내외 많은 나라에서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국내 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에 지속해서 확대·구축되고 있다. 간선급행버스(BRT) 개념 2004년 말부터 국내 버스 정책은 기존 도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통관리 체계가 요구되었다. 이를 배경으로, 서울시 버스노선 개편과 함께 단기간·저비용·고효율의 BRT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대도시권에서 건설 운영하는 버스 전용 주행로, 교차로, 정류소 등 BRT 시설과 전용차량을 갖추고 운영하는 교통체계이다. 정시성, 통행속도, 수송 능력 등 버스 서비스를 도시철도 수준으로 향상한 대중교통시스템이다.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2022. 5. 29.
국내외 버스전용차로 설치 사례 세계 주요 도시에서는 도로의 효율을 높이고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버스전용차로를 운영한다. 국내외 버스전용차로 사례를 살펴보고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고자 한다. 국내 버스전용차로 설치사례 대한민국은 1980년대 이후 자동차 이용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도로·교통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1990년 8월 도로교통법에 처음 '버스전용차선'을 명시하였다. 1993년 2월 최초로 서울특별시 한강로, 왕산로, 동작대로, 강남대로에 버스전용차로제가 지정되었다. 2006년 경기도 고양시에서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의 일반도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개통했다. 국내는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와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고 역류형 버스전용차로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국내의 버스전용차로는 지역별로 설치기준이 .. 2022.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