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대중교통26 국내외 버스전용차로 설치 사례 세계 주요 도시에서는 도로의 효율을 높이고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버스전용차로를 운영한다. 국내외 버스전용차로 사례를 살펴보고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고자 한다. 국내 버스전용차로 설치사례 대한민국은 1980년대 이후 자동차 이용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도로·교통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1990년 8월 도로교통법에 처음 '버스전용차선'을 명시하였다. 1993년 2월 최초로 서울특별시 한강로, 왕산로, 동작대로, 강남대로에 버스전용차로제가 지정되었다. 2006년 경기도 고양시에서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의 일반도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개통했다. 국내는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와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고 역류형 버스전용차로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국내의 버스전용차로는 지역별로 설치기준이 .. 2022. 5. 28. 버스전용차로 개념 및 유형의 모든 것 대중교통의 핵심인 버스는 일상생활의 이동권 보장에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한다. 버스의 정시성, 신속성, 쾌적성 등을 보장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버스전용차로'가 대표적이다. 버스전용차로 개념 교통 운영체계관리 기법 중 하나인 버스전용차로는 교통혼잡 개선을 위해 버스만 통행할 수 있게 지정한 차로이다. 버스를 다른 교통과 분리하여 통행 우위를 보장하고 상호 간의 마찰 방지 및 버스 이용성을 높이는 방안 중 하나다. 「도로교통공단 교통 노면표시 설치·관리 매뉴얼」의 버스전용차로를 설치 전제조건을 세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특정 구간의 교통정체가 심해야 한다. 버스 통행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고 승차인원이 한 명인 승용차의 비율이 높아야 한다. 도로의 기하구조 여건이 전용차로를 수용할 만한 수.. 2022. 5. 26.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