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미래교통15

해외의 MaaS(Mobility as a Service)를 알아보자! 'MaaS'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의 많은 국가에서도 실증사업 및 관련 정책을 수립·시행 중이다. 본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에 비해 교통 선진국인 해외의 'MaaS'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의 'MaaS' 추진 현황은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란다. MaaS(Mobility as a Service) 해외 추진 현황 해외의 'MaaS' 서비스는 핀란드 Whim을 선두로 세계적으로 확산 중이나 아직 많은 한계가 있다. 국가별로 'MaaS' 서비스의 보편적인 도입보다 특정 지역에 시범사업을 통한 서비스 질을 높이는 단계로 나타났다. 아시아의 경우 일본, 유럽의 경우 핀란드, 스웨덴, 독일 등에서 'MaaS' 서비스의 적극적인 투자가 진행 중이다. 해외 MaaS 추진 현황 일본의 MaaS 2019년 경제.. 2022. 7. 8.
국내 MaaS(Mobility as a Service)의 추진 현황은? 2021년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2021~2040)'에 MaaS가 언급되었다. 모바일로 버스, 지하철, PM 등 모든 모빌리티 연결 및 결제를 한 번에 하는 서비스 구현·계획 중이다. 국내의 경우 현재 스마트시티와 연계하여 대도시에 광역교통 MaaS를 추진 중이다. 정부는 향후 전국적으로 MaaS 확산을 위한 토대를 마련 중이며, 다양한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MaaS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며, MaaS 개념 및 기대효과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MaaS(Mobility as a Service) 국내 추진 현황 우리나라는 PM(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DRT(수요응답형 버스), 공유 자동차 등 교통수단 서비스가 개별 단위이다.. 2022. 7. 7.
MaaS(Mobility as a Service) 개념 및 기대효과 미래의 교통은 과거와 달리 공급자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도로, 교량 등의 건설과 함께 교통 인프라 구축, 대중교통 서비스 등 공급자에 의한 교통서비스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카카오 택시, T-Map 등 이동 서비스 플랫폼의 등장으로 이용자들의 수요에 따라 교통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국민 다수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모든 것을 해결하는 시대인 만큼 간편함과 편리성이 더욱 추구되고 있다. 교통 서비스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 기존 교통수단과 모빌리티 수단을 연계한 MaaS를 알아보고자 한다. MaaS(Mobility as a Service)를 알아보자! MaaS 개념 및 추진 현황 'MaaS'는 'Mobility as a Service'의 약자로 '서비스로.. 2022. 7. 5.
미래 교통수단 하이퍼루프(Hyperloop)를 알아보자! 진화되는 기술 개발과 함께 교통수단의 속도 향상 욕구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2010년부터 조금씩 회자하던 하이퍼루프는 코로나19 이후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더욱 관심을 받았다. 하이퍼루프로 유명한 미국 '보링컴퍼니' 외에 국내 및 다양한 국가에서 하이퍼루프 개발에 대한 관심이 상당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열차 끝판왕으로 불리는 하이퍼루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하이퍼루프(Hyperloop)에 대해 알아보자! 하이퍼루프 개념 및 추진 현황 하이퍼루프 개념 하이퍼루프는 진공 튜브 내에서 캡슐로 이동하며 최대 1,200km/h 이상의 속도를 내는 고속철도를 의미한다. 캡슐 이동 시 캡슐과 튜브 사이 고압의 공기를 이용, 공기베어링이 형성되어 캡슐을 공중에 띄우는 공기 부상 방식이다. 음속(소리.. 2022. 7. 3.